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면 무호흡증

반응형

 

 

코골이가 심한 사람은 본인은 숙면할지 몰라도 옆에 있는 사람은 잠을 청할 수 없을 정도의 스트레스로 다가옵니다.

특히 매일같이 잠자리를 하는 경우에는 너무 고통스러운 나머지 각방을 쓰기도 하죠.

코골이를 의도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여러모로 불편함을 초래하니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어요.

또한 코골이가 심한 사람은 건강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더욱 문제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하는 코골이는 드르렁거리는 소리가 심한 것만 생각하지만 숨이 멎는듯한 수면무호흡증도 있어요.

수면무호흡증은 고혈압과 부정맥, 뇌졸중과 심부전증을 유발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옆에서 자고 있는 사람이 갑자기 숨을 안 쉰다면 너무 놀라 죽는 거 아닌가 하는 걱정까지 해요.

저도 아버지가 무호흡증이 있으셔서 흔들어 깨웠던 기억이 있는데요,

실제로 숨을 멈추거나 호흡량이 떨어지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할 수 있어요.

이런 무호흡증을 진단하는 기준은 호흡을 10초 이상 멈춘 상태가 계속된다거나 호흡량이 1/3로 줄어든 경우를 말해요.

호흡이 멈추고 호흡량이 떨어지게 되면 혈액 속의 산소포화도가 정상치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갑자기 사망하는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을 앓는 분들을 보면 드르렁거리는 소리와 함께 숨이 컥컥 막히는 모습을 보여요.

수면무호흡증이 일어나는 원인은 자고 있는 상태에서 기도가 순간 좁아지거나 막히기 때문인데요,

자면서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혈중 산소포화도는 점점 떨어집니다.

의학적으로 산소포화도가 90% 이하로 떨어지면 산소호흡기를 착용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검사해보면 심한 경우 80%까지 떨어지기도 합니다.

혈액 속의 산소가 떨어지면 얼마나 위험한지는 대부분 알고 계실 텐데요,

당장 뇌와 심장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무호흡증이 계속되면 뇌졸중과 부정맥, 심부전증과 같은 합병증의 원인이 됩니다.

 

 

실제로 무호흡증이 맥박이 정상적으로 뛰는 걸 방해하기 때문에 부정맥이 올 수 있으며

무호흡증 증상이 심한 경우 50%나 걸린다고 해요. 또한 고혈압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요,

중증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절반이 고혈압을 앓고 있습니다.

심부전증이 합병증으로 올 확률은 낮지만 심장기능을 떨어뜨리는 것은 분명하다고 할 수 있어요.

이런 합병증이 무섭기도 하지만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것도 무시할 수 없어요.

수면무호흡증이 장기화되면 잠을 자도 계속 피곤한 상태를 느끼고 주간에 계속 졸리는 증상을 느낍니다.

특히 운전을 업으로 하거나 밀폐된 공간, 혼자 일하는 분들은 자칫 대형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무호흡증은 기구를 사용해 완화하거나 수술적 요법을 통해 치료하고 있어요.

무호흡이 일어날 때 인위적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양압기를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효과가 좋고 중추성 수면무호흡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요.

기구를 사용하는 다른 방법은 입안에 구강장치를 하는 것으로 좁아진 기도를 넓여서 호흡을 도와줍니다.

수술의 경우 비강수술을 통해 막힌 부분을 뚫어주는 방법이 있으며 인두부 수술을 실시하기도 해요.

인두부가 늘어지면 코골이나 무호흡증을 유발하는데요,

레이저를 사용하거나 직접 절개, 고주파와 전기 소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술을 하고 있어요.

수술의 필요 여부는 전문의의 의견에 따르는 게 좋습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혈증 원인과 치료  (0) 2024.09.20
아기 코막힘  (0) 2024.09.19
뇌졸중 증상과 대처방법  (2) 2024.07.24
산후우울증 극복 치료  (0) 2024.07.08
여름에 주의해야할 전염병  (0)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