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족수 증상 및 예방

반응형

요즘 기온이 서서히 올라가며 좀 이른 여름이 다가옴을 느낄 수 있는데요, 

여름에 시작해 가을까지 발생하는 질환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바로 수족구병으로 잇몸이나 혀, 뺨 안쪽점막과 발등, 손등에 생기는 수포성의 발진이예요. 

특히 수족구는 어린 영유아에게 많이 나타나는데요.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님들은 이런 발진이 생기면 너무놀라 어쩔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더군다나 대변이나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감염되는 바이러스기 때문에 초기에 제압하지 않으면 

상당히 피곤해질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증상은 몸 전체에 심한 발열증상과 힘이없이 무기력함을 느껴요. 또한 식욕부진이 심한데요, 

음식물이 섭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구토가 나오고 설사를 심하게 합니다. 

본격적으로 수포성 발진이 생기면서 혀나 볼의 점막, 입천장, 인후두와 잇몸, 입술등 구강 전반에 수포가 발견되며 

궤양이 생깁니다. 얼굴쪽 뿐만 아니라 손등이나 발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기도 하구요, 

엉덩이에 발진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 수족구병이 영유아에게 집중된다는 점이예요. 

자신의 의사도 잘 표현못하는 어린아기가 이 수족구병에 걸려서 힘들어하는걸 생각하면 정말 가슴 아픈데요, 

때문에 부모님들이 증상이 빨리 파악해서 병원에 데리고가는게 중요해요. 

보통 발병하고 이틀에서 삼일정도 증상이 심각해지고 심한 고열을 시달리게 되고 

사일정도가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해요. 수족구는 한번 경험했더라도 재발이 일어나는 질환이며 

심한경우 폐출혈이나 폐부종, 신경계쪽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빨리 치료하는게 관건입니다.

 

 

 

 

 

 

 

자녀가 수족구 증상을 보인다면 곧바로 병원에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야 해요. 

진단을 받으면 아이가 다니고있는 학교나 학원에 보내지 않아야 다른 학생들에게 전염되지 않으니 꼭 지켜주세요. 

학교 몇일 안가는게 큰일이라며 숨기고 보냈다가는 아이의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뿐더러 

다른 학생들에게 전염되서 겉잡을 수 없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하기 때문이예요. 

집에서도 부모님이나 형제에게 옮을 수 있으니 최대한 격리시키면서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수족구는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예방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손을 자주씻고 외출후에 외투를 벗고 실내복으로 재빨리 환복하고 몸을 씻어주는게 좋아요. 

특히나 아이들이 이 질환에 취약하기 때문에 아이가 쓰는 학용품이나 장난감 등을 청결하게 유지해주는게 좋습니다. 

또한 물을 자주 마시는것도 수족구를 예방하는 한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수족구 환자에게서 전염되지 않도록 접촉을 피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디스크, 목질환  (2) 2024.10.29
콜레스테롤 관리  (3) 2024.10.29
노인성치매, 알츠하이머  (2) 2024.10.26
암 가족력  (2) 2024.10.23
겨울철 혈관질환 종류 및 치료예방법  (4)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