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가장많이 입는 옷의 종류는 니트와 패딩, 코트를 들 수 있어요.
겨울에 주로 입는 옷들이기 때문에 오염이 왠만큼 심하지 않으면 비교적 세탁을 자주하지 않는데요,
그래서 한 번 세탁할 때 신경써서 해야해요.
또한 세탁기에 넣고 막갖다 돌리면 손상을 심하게입는 옷들이기 때문에 오래입고 싶으시다면
올바른 세탁법을 지켜줘야 합니다.
가장 손상없이 니트를 빨래하는 방법은 뭐니뭐니해도 손빨래를 하는 거예요.
손빨래를 하더라도 장시간 빨래하지 않도록 하고 너무 비벼빨지 마세요.
오염이 심한 부분만 살살 비벼서 빨아야 늘어남을 최소화할 수 있거든요.
또한 찬물보다 미지근한 물로 세탁하도록 하고 울세제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매번 손세탁할 시간이 없다면 가장 아끼는 니트만 골라 손세탁하시고
그밖의 니트류는 미지근한 물로 세탁기에 돌리면 되겠네요.
시간이 없어 손빨래가 불가능할 경우 세탁기에 돌리는 수밖에 없는데요,
니트를 세탁기에 빨때는 반드시 뒤집어서 넣도록 하세요.
뒤집어서 넣으면 겉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거든요. 세탁망이 있다면 사용하는게 더욱 좋구요.
또한 세탁기의 성능에 따라 다르겠지만 울 코스 기능이 있다면 이 코스로 빨면 더욱 좋습니다.
특히 탈수를 오랫동안 하면 니트류는 손상이 심하므로 탈수횟수를 1회로 설정하는게 좋아요.
세탁후에는 가볍게 털어서 옷이 펼쳐진 상태로 말리는게 좋습니다.
유난히 춥고 길었던 겨울이 이제 한풀 꺽이고 있는데요,
겨우내 입었던 패딩점퍼를 잘 세탁해서 보관해야할 때입니다.
패딩 관리에서 많은 분들이 잘못 아시고 계신 부분이 바로 드라이크리닝이예요.
패딩 세탁을 위해 드라이크리닝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 하면 안되요.
패딩에 들어가는 오리털이나 거위털이 유분을 갖고있는데 기름이 있는 드라이용제를 쓰면 유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이예요. 유분이 빠져나가면 보온성이 떨어지고 털이 푸석해지니 절대하지 마세요.
패딩을 세탁할때는 중성세제를 사용해서 유분이 빠져나가는걸 방지할 수 있어요.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로 빠르게 세탁하는게 포인트로 세탁기에 돌리기보다는 손으로 조물조물 빨래해주는게 좋아요.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패딩이 물에젖기 전에 오염이 심한곳을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예요.
물에 젖어 버리면 어디가 오염이 심한지 식별이 힘들기 때문이예요.
전체적으로 세제물에 빨래하면서 오염이 심한곳을 집중적으로 세탁하는게 포인트예요.
세탁이 어느정도 끝나면 물기를 제거해서 말려야하는데 이게 손으로 하기가 까다로워요.
그래서 탈수는 세탁기의 힘을 빌리는것이 현명하죠.
단 물기만 제거한다는 생각으로 탈수시간을 최소로 해서 돌려야 털이 손상을 덜받고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탈수가 끝나면 털이 고르게 퍼진 상태로 마를수 있게 평평히 펴서 바닥에 널어주세요.
옷걸이에 걸어 말리면 털이 쏠리니 주의하세요.
코트세탁법을 살펴보면 먼저 모가 100% 코트의 경우는 절대 물빨래하면 안되고 드라이크리닝을 해야해요.
단 울과 폴리에스테르가 섞인 혼방코트의 경우는 물빨래가 가능한데요, 찬물로 빠르게 세탁하는게 포인트예요.
찬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코트가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고 세탁시간을 줄이면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예요. 물에 세제를 풀고 푹 담궈서 조물조물하게 눌러주고 오염이 심한곳을 비벼서 제거해줘요.
세탁이 끝난 코트를 세탁기에 넣고 탈수하면 옷이 심하게 상해버려요.
때문에 코트는 탈수과정을 거치지 않고 수건으로 두드려서 물기를 제거해줘야 합니다.
물기가 어느정도 제거되면 햇볓이 들지않는 그늘지고 바람이 잘부는 곳에 옷걸이에 걸어 말리면 됩니다.